본문 바로가기

행복한 엔비네66

강아지 행동 발달 _ 사회화 과정 개의 행동발달 개의 행동발달 단계는 신생아기, 이행기, 사회화기, 유년기, 성년기, 노년기로 나누어집니다. 어미개의 자궁 안의 환경도 고려하는 출생전기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신생아기 태어나서 약 2주간이 신생아기입니다. 아직 스스로 배설하지 못하고 어미에게 모든 것을 의존하는 시기입니다. 시각과 청각이 아직 발달하지 않은 시기이며 약간의 촉각과 체온감각, 미각과 후각만 갖추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자극에 반응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출생 후 며칠간 어미에게 받은 보살핌의 양적. 질적인 차이가 성장 후의 불안경향이나 공격성과 같은 행동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신생아기를 어떻게 보내냐에 따라 성장 후의 스트레스저항성이나 정동적 안정성. 학습능력 등에 영향을.. 2023. 2. 10.
강아지 시각적, 후각적 커뮤니케이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행동 시각신호는 효과적이며 상대의 대응을 보면서 즉시 신호를 바꿀 수 있다는 점도 유리합니다. 늑대 무리에서는 동료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대부분이 자세나 표정의 변화로 시각표시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마찬가지로 시각계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개와 개 또는 개와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중요합니다. 개는 기분에 따라 귀나 꼬리의 위치, 자세, 표정 등으로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 신호가 연속적으로 형태를 만들어 냅니다. 머리의 위치는 공격 시에는 높고 복종 시에는 낮고 목이 늘어납니다. 귀의 위치는 공격 시에는 경계태세와 동일해지고 복종 시에는 뒤로 쏠려 내려갑니다. 또한 눈은 위협 시에는 상대를 직시하고 복종 시에는 피하고 공포를 느꼈을 때는 크게 열립니다. 꼬리는 표현력이 풍부합니다. 일반적.. 2023. 2. 3.
강아지 교미, 고양이 교미_시기, 패턴 성행동 동물이 자신의 유전정보를 다음 세대로 계승하고 종으로서 존속해 가기 위해서는 성행동, 즉 교미 행동은 불가결합니다. 성행동은 수컷의 정자와 암컷의 난자의 만남을 만들어내기 위한 행동으로 다양한 동물 종에 보이는 다양한 성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비교행동학적 관점에서도 흥미로울 뿐 아니라, 가축의 생산성 향상과 야생동물의 보호관리라는 실용적인 관점에서도 의의가 깊습니다. 좁은 의미의 성행동이란 암수의 배우자가 수태하여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기 위한 단계로서 수컷이 정자를 암컷의 생식도 내에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동입니다. 교미양식은 동물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교미양식의 차이는 아마도 육식동물과 그것에 목표가 되는 초식동물이라는 자연계에서의 입장 차이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성행동도 동.. 2023. 2. 3.
강아지와 고양이의 모성본능_ 특징 안정감을 주는 어미의 냄새 말이나 양과 달리 같이 출산한 날부터 새끼를 데리고 초원을 이동하는 동물과는 대조적으로 개나 고양이는 출산을 한뒤 얼마동안은 둥지 안에서 새끼를 보살핍니다. 고양이에 관한 연구에서 둥지의 중심에서 주변까지 온도와 냄새의 구배가 있습니다. 어미로부터 발산되는 온도와 냄새가 새끼들이 어미 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새끼들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그루밍, 배설 촉진 어미 개나 고양이는 생후 3주까지 새끼들을 계속해서 핥아 몸을 깨끗하게 만들어줍니다. 특히 배뇨와 배변이 촉진되도록 항문부위를 열심히 핥습니다. 그 행동으로서 배설물은 어미가 먹게되고 그에 따라 둥지 안은 청결이 유지되고 새끼를 노리는 적으로부터 새끼의 안전을 지킬 수 있습니다. 새끼들이 스스로 .. 2023. 2. 3.